본문 바로가기
정책

경기도, 공영주차장에 태양광발전시설 설치 지원

by 정책의 퍼즐 2024. 1. 26.

경기도는 올해 주차공간 3천240면을 확보하기 위한 주차환경 개선사업을 추진합니다. 공영주차장 조성(2천494면), 자투리주차장 조성(260면), 주차장 무료개방 지원(486면), 주차정보시스템 구축 등 4개 분야로 나눠 사업을 진행합니다. 특히, 건축·부지면적 2천500㎡ 이상의 공영주차장 조성 시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비를 지원하여 친환경 에너지 확대에도 나섭니다.

 

 



정책뉴스
복지로 지원금

1. 경기도 주차환경 개선사업 개요

 

 

 

 

 

 

경기도는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3651억 원을 투입하여 주차환경 개선사업을 추진합니다. 이 사업은 주거지, 상가, 관광지 등 도민의 생활권역별 주차난을 해소하고, 주차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도민의 편의를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경기도의 주차환경 개선사업은 크게 4개 분야로 나누어 진행됩니다.

  • 공영주차장 조성: 주거지, 상가, 공공시설 등 주차난이 심각한 지역을 중심으로 공영주차장 1만 134면을 조성합니다.
  • 자투리주차장 조성: 주택가 골목길, 공원, 유휴부지 등 자투리 공간을 활용하여 주차장 1300면을 조성합니다.
  • 부설주차장 무료 개방: 학교, 종교시설, 관공서 등 공공시설의 부설주차장을 지역주민에게 무료로 개방할 경우 주차장 시설개선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합니다.
  • 주차정보시스템 구축: 주차장 위치, 이용현황, 요금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주차정보시스템을 구축합니다

 

2. 주차공간 3천240면 확보 방안

 

 

 

 

경기도는 2024년 주차공간 3천240면을 확보하기 위해 공영주차장 조성(2천494면), 자투리주차장 조성(260면), 주차장 무료개방 지원(486면), 주차정보시스템 구축(2억 원) 등 4개 분야로 나눠 사업을 추진합니다.

 

공영주차장 조성

공영주차장 조성은 경기도 주차환경 개선사업의 핵심 사업입니다. 경기도는 2024년 총 2천494면의 공영주차장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공영주차장 조성은 주차난 해소와 함께 도심 미관 개선, 교통 혼잡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영주차장에는 장애인, 임산부, 노약자 등 교통약자를 위한 주차구획을 별도로 설치하여 교통약자의 편의를 높일 계획입니다.

경기도는 공영주차장 조성을 위해 도비와 시군비를 각각 50%씩 지원합니다. 또한, 민간자본을 유치하여 공영주차장을 조성하는 사업도 추진합니다.

공영주차장 조성 대상지는 주거지, 상가, 공공시설 등 주차난이 심각한 지역입니다. 경기도는 공영주차장 조성을 통해 주차난이 심각한 지역의 주차난을 해소하고, 도민의 주차 편의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자투리주차장 조성

자투리주차장 조성은 공영주차장 조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입니다. 경기도는 2024년 총 260면의 자투리주차장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자투리주차장 조성 대상지는 주택가 골목길, 공원, 유휴부지 등입니다. 경기도는 자투리주차장 조성을 위해 도비와 시군비를 각각 30%씩 지원합니다.

자투리주차장 조성을 통해 주차난이 심각한 주택가 골목길의 주차난을 해소하고, 도민의 주차 편의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부설주차장 무료 개방

부설주차장 무료 개방은 주차난 해소와 함께 지역주민의 주차 편의를 높이기 위한 방안입니다. 경기도는 2024년 총 486면의 부설주차장을 무료로 개방할 계획입니다.

부설주차장 무료 개방 대상지는 학교, 종교시설, 관공서 등 공공시설입니다. 경기도는 부설주차장 무료 개방을 위해 도비와 시군비를 각각 50%씩 지원합니다.

부설주차장 무료 개방을 통해 주차난이 심각한 지역의 주차난을 해소하고, 지역주민의 주차 편의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주차정보시스템 구축

주차정보시스템 구축은 도민이 주차공간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입니다. 경기도는 2024년 총 2억 원을 투입하여 주차정보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주차정보시스템은 주차장 위치, 이용현황, 요금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합니다. 경기도는 주차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도민의 주차 편의성을 높이고, 불법주차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3. 공영주차장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지원

 

 

경기도는 2024년부터 공영주차장 조성 시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설치비용을 지원합니다.

경기도는 기후변화 대응과 친환경 에너지 확대를 위해 이 같은 정책을 추진합니다. 공영주차장에는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이를 공영주차장 운영에 활용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에너지 절감을 도모한다는 계획입니다.

 

경기도는 공영주차장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비용의 50%를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은 건축·부지면적 2천500㎡ 이상의 공영주차장입니다.

 

경기도는 공영주차장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를 통해 연간 약 2만 2천MWh의 전력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약 5,500가구의 연간 전력 사용량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경기도 공영주차장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지원은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 기후변화 대응: 온실가스 배출 감소
  • 에너지 절감: 공영주차장 운영 비용 절감
  • 재생에너지 확대: 친환경 에너지 보급 확대

경기도 공영주차장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방법

경기도 공영주차장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1. 사업신청: 공영주차장 조성 사업자 또는 시군은 경기도에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를 신청합니다.
  2. 사업심사: 경기도는 사업신청서를 검토하여 설치 적정 여부를 심사합니다.
  3. 설치: 사업자는 경기도의 심사를 거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합니다.
  4. 준공: 경기도는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의 준공을 확인합니다.

경기도는 공영주차장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과 친환경 에너지 확대에 기여하고, 도민의 주차 편의성을 높이는 데 앞장설 계획입니다.

 

 

4. 주차정보시스템 구축

 

 

경기도는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1300개소의 주차정보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경기도 주차정보시스템은 주차장 위치, 이용현황, 요금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경기도는 이 시스템을 통해 도민이 주차공간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불법주차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주차정보시스템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됩니다.

  • 주차장 위치 정보: 주차장 위치, 연락처, 이용요금, 이용시간 등 기본 정보를 제공합니다.
  • 주차장 이용 현황 정보: 주차장 이용 현황(잔여 주차대수, 주차가능 여부)을 실시간으로 제공합니다.
  • 주차장 요금 정보: 주차장 요금 정보(요금제, 할인 조건 등)를 제공합니다.

경기도 주차정보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 주차장 관리자: 주차장 이용 현황 정보를 주차정보시스템에 입력합니다.
  • 도민: 주차정보시스템을 통해 주차장 정보를 확인하고, 주차장 이용을 예약할 수 있습니다.
 

 

5. 경기도 주차환경 개선사업의 기대효과

 

 

 

경기도는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3651억 원을 투입하여 주차환경 개선사업을 추진합니다. 이 사업은 주거지, 상가, 관광지 등 도민의 생활권역별 주차난을 해소하고, 주차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도민의 편의를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경기도 주차환경 개선사업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주차난 해소

경기도는 2024년까지 총 3천240면의 주차공간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공영주차장 조성과 자투리주차장 조성을 통해 주차공간을 확충함으로써 주차난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공영주차장 조성 시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설치비용을 지원함으로써 기후변화 대응과 친환경 에너지 확대에도 기여할 계획입니다.

 

둘째, 주차 편의성 향상

경기도는 주차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도민이 주차공간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주차장 위치, 이용현황, 요금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불법주차를 예방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셋째, 친환경 교통 활성화

주차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교통 혼잡을 완화하고, 친환경 교통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경기도 주차환경 개선사업은 도민의 주차난 해소와 주차환경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경기도는 이 사업을 통해 도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경기도를 만드는 데 앞장설 계획입니다.

 

 

 

summary


1. 경기도 주차환경 개선사업 개요

주차난 해소를 위한 경기도의 야심찬 계획


2. 주차공간 3천240면 확보 방안

공영주차장, 자투리주차장, 부설주차장 무료 개방

3. 공영주차장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지원

주차난 해소와 친환경 에너지 확대를 동시에


4. 주차정보시스템 구축

주차장 찾기 어렵지 않아요


5. 경기도 주차환경 개선사업의 기대효과

주차난 해소, 주차 편의성 향상, 친환경 교통 활성화

 

함께보면 좋은글

2024.01.26 - [정책] - 경기도, 전세사기 피해자 긴급생계비 지급 3월부터 전국 최초 시행

 

경기도, 전세사기 피해자 긴급생계비 지급 3월부터 전국 최초 시행

경기도는 3월부터 전세사기 피해자에게 100만 원의 긴급생계비를 지급합니다. 지원 대상은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및 주거 안정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결정된 피해자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서

moneycoch1.tistory.com

2024.01.25 - [정책] - 착한가격업소 할인 혜택, 신한카드 외 9개 카드사 확대

 

착한가격업소 할인 혜택, 신한카드 외 9개 카드사 확대

행정안전부와 카드업계는 2024년 2월 1일부터 착한 가격업소에서 1만 원 이상 카드결제 시 2000원 할인 혜택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대상 카드사는 신한카드, KB국민카드, 롯데카드, 삼성카드, 현

moneycoch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