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

장애도 꿈을 펼칠 수 있어요! 서울시, 맞춤형 일자리로 장애인 자립 지원

by 정책의 퍼즐 2024. 2. 16.

서울시는 장애인의 자립을 돕기 위해 맞춤형 일자리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장애인의 개별 특성에 맞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경제활동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자립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024년에는 총 25개 기관에서 250명의 장애인을 모집하며, 참여자는 주 20시간 근무하며 월 최대 103만 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자격은 서울시에 등록된 18세 이상 미취업 장애인이며, 소득 수준, 장애 정도, 참여 경력, 면접 평가 등의 기준에 따라 선발됩니다.

 

 



정책뉴스
복지로 지원금

1. 서울시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사업 개요

 

 

 

 

 

 

서울시는 장애인의 자립과 경제활동 참여를 돕기 위해 2009년부터 '서울시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장애인의 개별 특성에 맞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경제활동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자립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장애인의 사회 참여를 확대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1.2 사업 내용

1.2.1 일반형(전일제)

일반형은 장애인이 일반 기업에서 사무, 서비스, 생산 등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는 사업입니다.

주 5일, 하루 4시간 근무하며, 최저시급 9,860원(2024년 기준)의 급여를 받습니다.

1.2.2 특화형(시간제)

특화형은 장애인의 개별 특성에 맞춰 근무 시간과 장소를 유연하게 운영하는 사업입니다.

주 2~3회, 하루 2~4시간 근무하며, 급여는 근무 시간에 비례하여 지급됩니다.

1.2.3 청소년형

청소년형은 만 15세~19세 장애 청소년에게 직업훈련과 경제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주 3일, 하루 3시간 근무하며, 급여는 근무 시간에 비례하여 지급됩니다.

1.3 사업 운영 기관

서울시는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사업을 운영하기 위해 다양한 기관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1.3.1 서울시 장애인고용지원센터

  • 장애인 취업 상담 및 교육
  • 일자리 연계 지원
  • 사업 운영 기관 지원

1.3.2 장애인관련기관

  •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사업 신청 접수 및 선발
  • 참여자 관리 및 지원
  • 사업 홍보

1.3.3 일반 기업

  •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창출
  • 장애인 참여자 고용 및 근무 환경 조성

1.4 사업 참여 기관

1.4.1 일반 기업

  • 장애인 고용률 2% 이상 달성 기업
  • 장애인 편의시설 갖춘 기업
  • 장애인 일자리 운영 경험 있는 기업

1.4.2 비영리단체

  • 장애인 관련 사업을 수행하는 비영리단체
  • 장애인 일자리 운영 경험 있는 비영리단체
  • 서울시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사업 참여 경험 있는 비영리단체
 

 

2. 사업 목표

 

 

서울시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사업은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2.1 장애인 자립 지원

  • 경제활동 참여 기회 확대를 통한 경제적 자립 지원
  • 사회 참여 기회 확대를 통한 사회적 자립 지원
  • 자존감 향상 및 삶의 질 개선

2.2 장애인 경제활동 참여 확대

  • 장애인의 고용률을 높여 경제적 자립 기반 마련
  • 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통한 사회 통합
  • 장애인의 잠재력 발휘 및 사회 기여

2.3 사회 참여 기회 확대

  • 다양한 직무 경험을 통해 사회 참여 기회 제공
  • 사회 구성원으로서 역할 수행 기회 제공
  • 사회적 편견 해소 및 인식 개선

2.4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사업의 기대 효과

  •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 및 사회 참여 기회 확대
  • 장애인 고용률 증대 및 사회적 통합
  • 장애인의 잠재력 발휘 및 사회 기여
  • 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2.5 사업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

  • 다양한 직무 발굴 및 제공
  • 장애인 맞춤형 교육 및 훈련 제공
  • 근무 환경 개선 및 지원
  • 사업 홍보 및 인식 개선 노력

2.6 사업 목표 달성 사례

  • 2023년 사업 참여자 중 80% 이상이 취업에 성공
  • 90% 이상의 참여자가 사업에 만족
  • 사회적 인식 개선 및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 증가
 

 

3. 2024년 사업 현황

 

 

3.1 사업 규모

  • 모집 인원: 250명 (25개 기관)
  • 지원금:
    • 일반형: 월 최대 103만 원
    • 특화형: 근무 시간에 비례 지급
    • 청소년형: 근무 시간에 비례 지급
  • 근무 시간:
    • 일반형: 주 5일, 하루 4시간
    • 특화형: 주 2~3회, 하루 2~4시간
    • 청소년형: 주 3일, 하루 3시간
  • 참여 기관: 25개 기관 (예시: 서울시 장애인고용지원센터, 장애인 관련기관, 일반 기업)

3.2 사업 내용

  • 직무 유형: 사무, 서비스, 생산 등 다양한 직무
  • 근무 환경: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하고 편의시설 갖춘 근무 환경 제공
  • 교육 및 훈련: 직무 수행에 필요한 교육 및 훈련 제공
  • 상담 및 지원: 취업 상담, 근무 적응 지원, 자립 지원 등 다양한 지원 제공

3.3 사업 참여 대상

  • 나이: 만 18세 이상
  • 거주 지역: 서울시 거주
  • 장애 정도: 1~6급 장애인
  • 소득 수준: 가구원 소득 기준
  • 기타: 사업 운영 기관의 기준 충족

3.4 사업 신청 방법

  • 접수 기간: 2024년 3월 1일 ~ 3월 31일
  • 접수 방법:
    • 온라인 신청: 서울시 장애인공공일자리 지원사업 홈페이지
    • 방문 신청: 서울시 장애인고용지원센터 및 장애인관련기관
  • 신청 서류: 신청서, 장애인등록증, 소득증명원 등

3.5 사업 운영 기관

  • 서울시 장애인고용지원센터: 장애인 취업 상담 및 교육, 일자리 연계 지원, 사업 운영 기관 지원
  • 장애인 관련기관: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사업 신청 접수 및 선발, 참여자 관리 및 지원, 사업 홍보

3.6 사업 참여 방법

 

 

4. 신청 자격

 

 

4.1 기본 자격

  • 만 18세 이상 서울시 거주 장애인
  • 1~6급 장애인
  • 소득 수준 기준 충족 (세대 소득 기준)
  • 사업 운영 기관의 기준 충족

4.2 세부 자격

4.2.1 일반형

  • 장애인고용률 2% 이상 달성 기업 또는 장애인 편의시설 갖춘 기업에 취업 가능한 장애인
  • 주 5일, 하루 4시간 근무 가능한 장애인

4.2.2 특화형

  • 장애인의 개별 특성에 맞춰 근무 시간과 장소를 유연하게 운영하는 사업에 참여 가능한 장애인
  • 주 2~3회, 하루 2~4시간 근무 가능한 장애인

4.2.3 청소년형

  • 만 15세~19세 서울시 거주 장애 청소년
  • 주 3일, 하루 3시간 근무 가능한 장애 청소년

4.3 신청 제한

  • 과거 사업 참여 후 2년 이내에 사업 중단한 경우
  • 사업 운영 기관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 허위 신청 또는 서류 위조가 적발된 경우

4.4 신청 방법

4.4.1 온라인 신청

4.4.2 방문 신청

  • 서울시 장애인고용지원센터 또는 장애인 관련기관 방문
  • 신청서 작성 및 제출
  • 서류 첨부 (신청서, 장애인등록증, 소득증명원 등)

4.5 신청 서류

  • 신청서
  • 장애인등록증
  • 소득증명원
  • 기타 서류 (사업 운영 기관에 따라 다를 수 있음)

4.6 선발 절차

  • 서류 심사
  • 면접
  • 최종 선발

4.7 문의

  • 서울시 장애인고용지원센터: 02-739-1200
  • 장애인 관련기관: 각 기관 홈페이지 또는 전화 문의
 

 

5. 자세한 정보 확인 방법

 

 

 

5.1 서울시 장애인공공일자리 지원사업 홈페이지

5.2 서울시 장애인고용지원센터

  • 사업 상담, 신청 접수 및 안내, 면접, 교육 및 훈련, 근무 적응 지원 등 다양한 지원 제공
  • 전화번호: 02-739-1200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동 201-1번지 (장애인고용플라자 5층)
  • 홈페이지: [[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

5.3 장애인 관련기관

  • 사업 신청 접수 및 안내, 면접, 참여자 관리 및 지원, 사업 홍보 등을 담당
  • 각 기관 홈페이지 또는 전화 문의

5.4 기타 정보 확인 방법

  • 서울시 홈페이지: https://www.seoul.go.kr/
  • 서울시 장애인복지포털: [[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
  • 장애인 관련 단체 및 기관 홈페이지

5.5 주의 사항

  • 사업 내용 및 신청 절차는 변경될 수 있으므로 신청 전에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허위 신청 또는 서류 위조가 적발될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서울시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사업에 대한 문의는 서울시 장애인고용지원센터 또는 장애인 관련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summary


1. 장애도 꿈을 펼칠 수 있어요! 서울시가 맞춤형 일자리로 당신의 자립을 응원합니다!


2. 월 최대 103만 원까지 지원! 서울시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사업, 신청 방법 공개!


3. 장애인도 사회 참여 가능! 다양한 직무 제공하는 서울시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사업


4. 이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서울시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사업 신청 자격 및 방법


5. 궁금한 점은 여기서 해결! 서울시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사업 정보 확인 방법

 

함께 보면 좋은 글

2024.02.15 - [정책] - 6만 7천 원 시절은 이제 그만! 공무원 간병비 현실화, 15만 원으로 대폭 인상!

 

6만 7천원 시절은 이제 그만! 공무원 간병비 현실화, 15만원으로 대폭 인상!

15년 만에 드디어! 일하다 다친 공무원 간병비가 하루 최대 15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2024년 2월 15일부터 시행되는 이번 인상은 위험한 직무를 수행하다 다친 공무원들의 어려움을 덜어주고, 공상

moneycoch1.tistory.com

2024.02.15 - [정책] - 여성농업인 특수검진 대상 3배로 확대! 신청 방법 총정리

 

여성농업인 특수검진 대상 3배로 확대! 신청 방법 총정리

농림축산식품부는 2024년 여성농업인 특수건강검진 대상을 3만 명으로 확대하고 검진 비용의 90%를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여성농업인의 농작업 관련 질병 예방 및 건강 관리를 위한 노력

moneycoch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