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지난 16일 경제부총리 주재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확정된 ‘설 민생안정대책’의 일환으로, 올해 도서민의 생활연료 해상운송비를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지원 대상은 전국 176개 섬에 거주하는 4만 5,000여 가구로, 지원 금액은 19억 원입니다. 이번 지원을 통해 도서민들은 유류, 가스, 연탄, 목재 펠릿 등 생활연료를 육지와 같은 가격에 구매할 수 있게 되어, 따뜻한 설 명절을 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Contents
1.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 확대 배경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 확대 배경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 확대의 배경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도서민의 생활비 부담 완화입니다. 도서민은 육지와 달리 교통, 물류 등 생활 기반시설이 열악해 생활비 부담이 큰 편입니다. 특히 생활연료의 경우 육지보다 운송비가 추가로 발생하여, 도서민의 경제적 부담이 더욱 커집니다.
두 번째는 도서민의 삶의 질 향상입니다. 생활연료는 도서민의 삶의 필수 요소입니다. 따뜻한 겨울을 나기 위해서는 연료가 필요하고, 식자재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가스나 기름이 필요합니다. 생활연료 지원을 통해 도서민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도서민 생활비 부담
도서민은 육지와 달리 교통, 물류 등 생활 기반시설이 열악해 생활비 부담이 큰 편입니다. 특히 생활연료의 경우 육지보다 운송비가 추가로 발생하여, 도서민의 경제적 부담이 더욱 커집니다.
통계청의 2022년 기준 도서지역 가구의 월평균 생활비는 275만 원으로, 육지지역 가구의 월평균 생활비(232만 원)보다 약 18% 높습니다. 이는 도서지역 가구의 월평균 소득(262만 원)이 육지지역 가구의 월평균 소득(356만 원)보다 약 30% 낮기 때문입니다.
생활연료 운송비 부담
생활연료의 경우 육지보다 운송비가 추가로 발생하여, 도서민의 경제적 부담이 더욱 커집니다. 예를 들어, 휘발유의 경우 육지에서는 리터당 2,000원 수준이지만, 도서지역에서는 리터당 2,500원 수준입니다. 이는 육지에서 도서지역까지 휘발유를 운송하는 데 추가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도서민 삶의 질 향상
생활연료는 도서민의 삶의 필수 요소입니다. 따뜻한 겨울을 나기 위해서는 연료가 필요하고, 식자재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가스나 기름이 필요합니다. 생활연료 지원을 통해 도서민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입니다.
도서민은 주로 난방용 연료로 연탄이나 LPG를 사용합니다. 연탄은 가격이 저렴하지만, 먼지와 매연이 발생하여 환경 오염의 우려가 있습니다. LPG는 깨끗하고 편리하지만,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쌉니다.
생활연료 지원을 통해 도서민은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생활연료를 구매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도서민의 난방비 부담을 줄이고,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지원 대상 및 금액
2024년 도서민 생활연료 해상운송비 지원 대상은 전국 176개 섬에 거주하는 4만 5,000여 가구입니다. 지원 금액은 19억 원으로, 가구당 4만 원이 지원됩니다.
지원 대상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가구입니다.
- 도서지역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가구
- 2023년 1월 1일 기준 가구원 수에 따라 [표1]과 같이 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가구
1인 가구 | 262만 원 |
2인 가구 | 394만 원 |
3인 가구 | 526만 원 |
4인 가구 | 658만 원 |
지원 신청은 2024년 2월 1일부터 28일까지 해당 지역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신청서에는 다음과 같은 서류를 첨부하여 제출해야 합니다.
- 주민등록등본 또는 초본
- 2022년도 종합소득세 과세표준증명원 또는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지원금은 2024년 3월 31일까지 지급될 예정입니다
3. 지원 방법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 효과
2023년 도서민 생활연료 해상운송비 지원은 전국 176개 섬에 거주하는 4만 5,000여 가구에 대해, 가구당 4만 원의 지원금을 지급하는 정책입니다.
이번 지원을 통해 도서민들은 유류, 가스, 연탄, 목재 펠릿 등 생활연료를 육지와 같은 가격에 구매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도서민의 경제적 부담 완화와 더불어, 따뜻한 겨울나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원 효과의 구체적인 사례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경제적 부담 완화
도서지역의 생활비는 육지지역보다 높습니다. 한국은행의 2022년 9월 발표에 따르면, 도서지역 가구의 월평균 생활비는 275만 원으로, 육지지역 가구의 월평균 생활비(232만 원)보다 약 18% 높습니다.
생활연료는 도서민의 생활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항목입니다. 통계청의 2022년 기준 도서지역 가구의 생활비 중 연료비 비중은 16%로, 육지지역 가구의 생활비 중 연료비 비중(13%)보다 약 2% p 높습니다.
이번 지원을 통해 도서민들은 연탄, LPG, 등유 등 생활연료를 육지와 같은 가격에 구매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연료비 부담을 크게 줄여주고, 도서민의 경제적 부담 완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따뜻한 겨울나기
도서지역은 육지지역보다 겨울이 길고, 추운 날씨가 많습니다. 특히, 북쪽 도서지역의 경우, 겨울철 평균 기온이 영하 5도 이하로 떨어지는 곳도 있습니다.
연탄은 도서지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난방 연료입니다. 연탄은 가격이 저렴하지만, 먼지와 매연이 발생하여 환경 오염의 우려가 있습니다.
이번 지원을 통해 도서민은 연탄 가격의 약 25%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연탄 난방비 부담을 크게 줄여주고, 도서민의 따뜻한 겨울나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삶의 질 향상
도서민은 육지보다 생활 기반시설이 열악한 경우가 많아,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구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원금을 통해 도서민이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생활연료를 구매할 수 있게 되면, 도서민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4.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 효과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 확대의 의미
2023년 도서민 생활연료 해상운송비 지원은 전국 176개 섬에 거주하는 4만 5,000여 가구에 대해, 가구당 4만 원의 지원금을 지급하는 정책입니다.
이번 지원은 도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의미 있는 정책입니다. 이번 지원을 통해 도서민은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생활연료를 구매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고, 삶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의 의미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도서민의 생활 안정 도모
도서민은 육지와 달리 교통, 물류 등 생활 기반시설이 열악해 생활비 부담이 큰 편입니다. 특히 생활연료의 경우 육지보다 운송비가 추가로 발생하여, 도서민의 경제적 부담이 더욱 커집니다.
이번 지원은 도서민의 생활비 부담을 완화하고, 생활 안정을 도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도서민의 삶의 질 향상
도서민은 육지보다 생활 기반시설이 열악한 경우가 많아,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구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원금을 통해 도서민이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생활연료를 구매할 수 있게 되면, 도서민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도서지역의 발전
도서지역은 육지와의 교류가 원활하지 않아, 지역 발전이 더디게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지원은 도서민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해 도서지역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 확대의 한계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 확대는 도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의미 있는 정책이지만,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지원 대상이 제한적입니다. 이번 지원은 전국 176개 섬에 거주하는 4만 5,000여 가구에만 한정됩니다. 따라서 도서지역 전체에 거주하는 도서민을 대상으로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습니다.
둘째, 지원 금액이 적습니다. 이번 지원은 가구당 4만 원의 지원금을 지급합니다. 이는 연탄 가격의 약 25%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도서민의 경제적 부담을 완전히 해소하기에는 부족한 금액입니다. 따라서 지원 금액을 확대할 필요가 있습니다.
셋째, 지원 방법이 불편합니다. 이번 지원은 주민센터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는 도서민의 신청 편의를 저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원 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5. 향후 계획
정부는 도서민의 생활안정을 위해 생활연료 해상운송비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도서민의 생활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2025년까지 생활연료 해상운송비 지원 대상 확대
정부는 2025년까지 생활연료 해상운송비 지원 대상을 5만 가구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현재 지원 대상은 전국 176개 섬에 거주하는 4만 5,000여 가구입니다.
지원 대상 확대를 통해 보다 많은 도서민이 생활연료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원 금액 확대
정부는 지원 금액도 확대할 계획입니다. 현재 지원 금액은 가구당 4만 원입니다. 지원 금액을 확대하여, 도서민의 경제적 부담을 보다 완화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지원 방법 개선
정부는 지원 방법도 개선할 계획입니다. 현재 지원은 주민센터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지원 방법을 개선하여, 도서민의 신청 편의를 높이고, 신청 절차를 간소화할 계획입니다.
도서지역 발전을 위한 정책 추진
정부는 도서지역의 발전을 위한 정책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도서지역의 교통, 물류, 교육, 의료 등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도서민에 대한 일자리 창출 지원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 확대는 도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정책입니다.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도서민이 보다 나은 삶을 누릴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 확대의 기대효과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 확대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 도서민의 경제적 부담 완화
생활연료는 도서민의 생활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항목입니다. 이번 지원을 통해 도서민은 연탄, LPG, 등유 등 생활연료를 육지와 같은 가격에 구매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연료비 부담을 크게 줄여주고, 도서민의 경제적 부담 완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도서민의 삶의 질 향상
도서민은 육지보다 생활 기반시설이 열악한 경우가 많아,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구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원금을 통해 도서민이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생활연료를 구매할 수 있게 되면, 도서민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도서지역의 발전
도서지역은 육지와의 교류가 원활하지 않아, 지역 발전이 더디게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지원은 도서민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켜 도서지역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 확대는 도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의미 있는 정책입니다.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도서민이 보다 나은 삶을 누릴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summary⌛
1.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 확대 배경
'따뜻한 겨울나기' 도서민의 염원이 이뤄진다!
2. 지원 대상 및 금액
'누구나 받을 수 있다'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 확대
3. 지원 방법
'간편하게 신청하세요'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 방법
4. 지원 효과
'경제적 부담 줄고 삶의 질 향상'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 효과
5. 향후 계획
'더 많은 도서민이 혜택받도록' 도서민 생활연료 지원 확대 계획
함께보면 좋은 글
2024.01.31 - [정책] - 소상공인 228만 명, 상생금융으로 1인당 평균 73만 원 환급
소상공인 228만 명, 상생금융으로 1인당 평균 73만원 환급
정부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을 위해 ‘상생금융 시즌2’를 시행합니다. 이번 시즌2에서는 은행권과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을 통해 소상공인 228만 명이 이자 환급 혜택을 받게
moneycoch1.tistory.com
2024.01.29 - [정책] - 소비자 웃음 짓게 하는 설맞이 한우 50% 할인 행사
소비자 웃음짓게 하는 설 맞이 한우 50% 할인 행사
설 명절을 맞아 농림축산식품부, 전국한우협회, 한우자조금, 농협경제지주 등과 협력하여 전국 29개 업체, 1885개 매장에서 12일간 대규모 한우 할인 행사를 실시합니다. 행사 기간 동안 한우 등심
moneycoch1.tistory.com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차상위 자녀, 학비 걱정 뚝! 등록금 전액 지원·근로장학금 확대 (0) | 2024.01.31 |
---|---|
문화누리카드 지원금 13만원으로 인상! 취약계층의 문화생활 향상 기대 (1) | 2024.01.31 |
소상공인 228만 명, 상생금융으로 1인당 평균 73만원 환급 (0) | 2024.01.31 |
소비자 웃음짓게 하는 설 맞이 한우 50% 할인 행사 (1) | 2024.01.29 |
영세·중소 신용카드 가맹점 302만 곳, 수수료 인하로 매출 증대 기대 (0) | 2024.01.29 |